
▶ 한겨레 2010.4.2 조일준 기자
"미국·이탈리아·멕시코의 사회·경제학자 4명이 쓴 <제국은 어떻게 움직이는가?>는 “하트/네그리가 제국적 국가의 역할을 심각하게 저평가하거나 무시했다”고 정면으로 반박한다."
링크: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414077.html
▶ 연합뉴스 2010.4.2 김지연 기자
"제국주의적 국가 체계는 자본주의 국민국가와 거대 기업들이 내적으로는 납세자이자 소비자인 시민들을, 외적으로는 주변국들을 희생양 또는 전리품으로 삼아 유지하는 것이라고 저자들은 지적한다. 특히 미국이 지배하는 제국주의는 라틴아메리카를 '전리품'으로 삼았다고 주장한다."
링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04/02/0200000000AKR20100402087500005.HTML?did=1179m
▶ 세계일보 2010.4.2 신동주 기자
"책은 라틴아메리카, 러시아, 중국, 이라크를 비롯한 세계 곳곳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 폭넓은 논의를 통해 제국적 권력의 경제적 기초와, 제국을 유지하고 확장시키는 국가의 활동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링크: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100402003034&ctg1=10&ctg2=00&subctg1=10&subctg2=00&cid=0101051000000
▶ 국민일보 2010.4.2 라동철 기자
"'세계화의 가면을 벗겨라’(2008)를 쓴 제임스 페트라스 뉴욕 빙햄턴 대학 사회학과 명예교수 등 4명의 공동 저작. 세계화와 국가 역할간의 관계를 파고든다. 라틴 아메리카, 러시아, 중국, 이라크 등 세계 곳곳의 사례를 바탕으로 제국적 권력의 경제적 기초와 제국을 유지하고 확장시키는 국가의 활동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링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562303&cp=du
▶ 문화일보 2010.4.2
"지난 세기 동안 라틴아메리카, 러시아, 중국, 중동, 아시아에서는 제국의 확장을 목표로 어떤 일들이 벌어졌는가. 대중민주주의의 힘과 무장한 저항, 그리고 미 공화국 쇠퇴의 위기 속에서 이 체제는 스스로를 지탱할 수 있을 것인가. 현재 신보수주의자들이 직면한 딜레마를 분석하고 반제국주의 운동의 부상을 선언하는 책이다"
링크: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040201032714001006
▶ 한겨레21 2010.4.9
"하트와 네그리의 <제국>에서 주장하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는 시장과 다국적기업들에 의해서만 지배되는 ‘제국’으로 기능한다는 논제에 반대하면서 ‘제국주의론’을 펼친다. 제국과 제국주의 간의 고전적 쟁점만이 아니라 최근 급부상하는 세계화와 국가 역할의 관계에 대한 논쟁을 함께 다룬다. 책은 제국적 국가 체계의 지배적 행위자는 자본주의 국민국가와 거대 자본주의 기업이라고 말한다."
링크: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7095.html
▷ Tel 02) 325 - 1485 | Fax 02) 325 - 1407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8길 9-13 [서교동 464-56] (우편번호:04030) | galmuri94@gmail.com | @daziwonM
▷ Galmuri Publishing Co.
9-13, Donggyo-ro 18-gil, Mapo-gu, Seoul, South Korea (04030)
▷ 계좌번호: 국민은행 762302-04-029172 [조정환(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