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시안 2019.11.16] <네트워크의 군주>. 새로운 형이상학의 탄생 / 손보미(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대자보 2019.10.30] '있다'와 '없다'의 사이… 군주와 사냥개의 수사학 / 신현진(예술학 박사)
[문화다 2019.9.5] 행위자의 특징 / 김영철 (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미술세계 2019년 9월호(통권418호)]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 철학과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만나는 풍경을 서술한 책
[뉴시스 2019.8.30] 라투르를 경유하여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 철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권할 만한 책 / 남정현 기자
[교수신문 2019.7.29] 네트워크의 군주: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철학
[광주매일신문 2019.8.4] 미국 철학자인 저자가 인문학과 자연과학이라는 이분법적 프레임을 부정하는 프랑스 학자 브뤼노 라투르 사상을 고찰했다
[국제신문 2019.8.8] 현대의 중요한 철학자 브뤼노 라투르가 거대한 위기에 봉착한 현대 세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담은 철학서
[한겨레신문 2019.8.2] 형이상학의 핵심인물, 브뤼노 라투르 / 김지훈 기자
[뉴스1 2019.7.27] 인간중심철학 벗어나지 않고선 대안 세상 가능성 찾을수 없어 /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네트워크의 군주』 서평 한눈에 보기
[문화일보 2019.7.26] 인간중심철학 벗어나지 않고선 대안 세상 가능성 찾을수 없어 / 엄주엽 선임기자
[연합뉴스 2019.7.26] 인문학과 자연과학이라는 이분법적 프레임을 부정하는 프랑스 학자 브뤼노 라투르 사상을 고찰했다 / 박상현 기자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19.6.4] 6월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추천도서 : 『전환기의 한국사회, 성장과 정체성의 정치를 넘어』
『전환기의 한국사회, 성장과 정체성의 정치를 넘어』 서평 한눈에 보기
[레디앙 2019.5.24] ‘전환기의 한국사회, 성장과 정체성의 정치를 넘어’
[한겨레신문 2019.5.23] 다시 더 낫게 실패하기 위한 ‘21세기 마르크스’ / 김지훈 기자
[연합뉴스 2019.5.20] 노동·환경·여성 관점서 본 전환기 한국사회 / 박상현 기자
[뉴스1 2019.5.20] 학술제 2019 맑스코뮤날레에 발표할 논문 13편을 주제에 따라 5부로 나눴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19.1.31] 우리의 자율성이 언제나 먼저다 / 염인수 고려대 기초교육원 초빙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