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55 | 신문서평 |
[내일신문, 2017.02.17]평등, 평화, 행동하는 작가들의 모임 '리얼리스트 100'이 '구름보다 무거운 말'이라는 시집을 펴냈다 / 송현경 기자
|
김하은 | 2017.02.17 | 237 |
54 | 신문서평 |
[오마이뉴스, 2017.03.02] 위로가 필요할 때, 꺼내 읽어요 / 이명옥 기자
|
김하은 | 2017.03.03 | 197 |
53 | 새책안내 |
[한겨레신문, 2017.02.09] 참여적 문인 모임 ‘리얼리스트 100’ 소속 시인 42명의 최근작과 대표작을 모은 <구름보다 무거운 말> / 최재봉 기자
|
김하은 | 2017.02.17 | 188 |
52 | 신문서평 |
[교수신문 2017.06.05.] 모든 민주주의를 민주화하는 ‘절대적인 역량’ 탐색 / 전성욱 (동아대·한국어문학과)
|
김하은 | 2017.06.06 | 129 |
51 | 인터넷매체 |
[웹진 문화다 2017.10.9] 생명의 존재론과 민주주의의 절대성 / 이성혁(문학평론가)
|
김하은 | 2017.10.12 | 126 |
50 | 새책안내 |
[뉴스페이퍼 2019.4.26] '세계에서 절실한 것은 오늘을 지켜줄 대피소' 재난의 시대 문학의 역할 살펴보는 김대성 평론집 "대피소의 문학" 출판 / 김상훈 기자
|
김하은 | 2019.04.26 | 97 |
49 | 뉴스 |
[국제신문 2019.2.28] 토크쇼 열고 함께 글쓰고…페미니즘 전도사 된 책방
|
김하은 | 2019.03.03 | 73 |
48 | 새책안내 |
[문화일보, 2017.04.07] ‘자본정치는 신정이다’는 관점에 따라 박정희, 박근혜, 세월호, 촛불 등 다양한 인물과 현상을 분석한다.
|
김하은 | 2017.04.07 | 68 |
47 | 새책안내 |
[부산일보 2017.05.25.] 대의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를 넘어선 '절대민주주의'란 인식틀이 새롭다 / 이대진 기자
|
김하은 | 2017.05.26 | 66 |
46 | 신문서평 |
[세계일보, 2017.05.20] ‘촛불’민심 국회·사법권력 통해 발현… 대의민주주의 체제의 민주화 진단 / 권구성 기자
|
김하은 | 2017.05.21 | 64 |
45 | 새책안내 |
[한겨레신문, 2017.04.06] 자본의 순환원칙을 중심으로 삼아 ‘신정정치’로서 자본주의 체제의 성격을 분석했다.
|
김하은 | 2017.04.07 | 55 |
44 | 새책안내 |
[한라일보 2017.05.26.] 직접민주주의 없는 대의민주주의는 민주주의의 껍데기나 다름없다. / 진선희 기자
|
김하은 | 2017.05.26 | 53 |
43 | 잡지서평 |
[정치비평 2017년 6월호] 생명의 섭정, 혼합정체의 전위 / 윤인로(『신정-정치』 저자)
|
김하은 | 2017.08.03 | 53 |
42 | 기타 |
『신정-정치』 서평 한눈에 보기
|
김하은 | 2017.04.07 | 52 |
41 | 뉴스 |
[국제신문 2019.3.21] 동네서점서 열린 성평등 축제…“페미니즘 네트워킹 필요” / 이화숙 ‘책방 카프카의밤’ 밤지기
|
김하은 | 2019.03.22 | 46 |
40 | 새책안내 |
[경향신문, 2017.02.03] 사회적 모순의 현장에서 시적 상상력을 길어올리는 한국 리얼리즘 시의 현주소
|
김하은 | 2017.02.17 | 42 |
39 | 신문서평 |
[한겨레신문 2019.2.22] ‘촛불 정부’의 공론장에 젠더정치 자리는 없다 / 조혜정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수석연구원
|
김하은 | 2019.02.25 | 41 |
38 | 기타 |
『대피소의 문학』 서평 한눈에 보기
|
김하은 | 2019.04.18 | 39 |
37 | 신문서평 |
[뉴시스 2019.4.19] 재난, 일상이잖아···김대성 비평집 '대피소의 문학' / 신효령 기자
|
김하은 | 2019.04.19 | 39 |
36 | 새책안내 |
[국제신문 2019.5.27] 바스러져 가는 영혼에 따뜻한 물 한잔…이 시대 문학의 존재 이유 / 조봉권 문화전문기자
|
김하은 | 2019.05.03 | 38 |
▷ Tel 02) 325 - 1485 | Fax 02) 325 - 1407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8길 9-13 [서교동 464-56] (우편번호:04030) | galmuri94@gmail.com | @daziwonM
▷ Galmuri Publishing Co.
9-13, Donggyo-ro 18-gil, Mapo-gu, Seoul, South Korea (04030)
▷ 계좌번호: 국민은행 762302-04-029172 [조정환(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