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2019.11.7] 미술비평이 사라진 시대, 미술비평의 역할은? '비평의 조건' / 김효원 기자
[월간 책 2019년 11월호] 인류에게 공통의 언어가 있다면
[한라일보 2019.11.1] 에스페란티스토들은 왜 이 언어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걸까 / 김지은 기자
[교수신문 2019.11.1] 비평이 처한 조건을 추적하면서 한국 현대미술이 처한 특정한 비평의 지형도를 그리는 책
[한겨레신문 2019.10.31] 미술과 돈, 권력, (성)정체성, 예술계 내에서의 정치 등에 대한 경험과 현대미술비평의 역할 등을 속속들이 탐구한다
[서울신문 2019.10.31] 세 명의 미술비평가가 미술 현장과 밀접한 다양한 조건의 미술비평가 16명(팀)을 인터뷰해 기록했다
[한국일보 2019.10.31] 미술 비평가 16팀을 인터뷰하며 미술계 비평의 자리를 고민한다
[문화일보 2019.10.31] 현재의 미술계 내부와 미술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관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한다
[금강일보 2019.10.2]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의 삶을 간결하면서도 섬세한 터치로 그리고 있다
[국제신문 2019.10.24] 에스페란토의 시인 율리오 바기를 만나자
[교수신문 2019.10.14] 주목할 만한 신간 『초록의 마음』
[영남일보 2019.10.19] [신간 200자 읽기] 초록의 마음… / 노진실 기자
[금강일보 2019.10.9] 인류가 알파벳이나 음악 부호를 공유하듯,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뉴스1 2019.10.20] 국제공용어 '에스페란토' 창시자의 사고와 생각은 어땠을까 / 이기림 기자
[교수신문 2019.10.14] 이 책은 언어적 불평등의 문제를 제기한다
[한겨레신문 2019.10.10] 예외와 불규칙이 없어 30분 만에 배울 수 있는 문법으로 이뤄진 에스페란토어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경향신문 2019.10.4] 에스페란토를 창안한 자멘호프의 주요 사상을 담은 연설문과 논문, 편지를 선별해 엮었다
[한국일보 2019.10.4] 영어만을 국제 소통의 방안으로 여기는 인간의 시각을 뒤집어 평등한 세계를 만든다
[연합뉴스 2019.10.3] [신간] 인류에게 공통의 언어가 있다면 / 박상현 기자
[국제신문 2019.9.19] 중국의 신사(gentry) 계급을 조명·분석하면서 중국 현실에 메시지를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