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 | 인터넷매체 | [프레시안 2019.11.16] <네트워크의 군주>. 새로운 형이상학의 탄생 / 손보미(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 김하은 | 2019.11.18 | 13 |
8 | 인터넷매체 | [대자보 2019.10.30] '있다'와 '없다'의 사이… 군주와 사냥개의 수사학 / 신현진(예술학 박사) | 김하은 | 2019.11.04 | 26 |
7 | 인터넷매체 | [문화다 2019.9.5] 행위자의 특징 / 김영철 (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 김하은 | 2019.09.06 | 13 |
6 | 인터넷매체 | [문화다 2019.5.31] 냉소 너머의 접속과 상상력의 힘 / 권혜린(이화여자대학교 국문과 박사수료) | 김하은 | 2019.06.05 | 13 |
5 | 인터넷매체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19.1.31] 우리의 자율성이 언제나 먼저다 / 염인수 고려대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 김하은 | 2019.02.11 | 22 |
4 | 인터넷매체 | [연합뉴스 2019.1.11] 러시아계 프랑스 학자 장켈레비치가 1930년에 쓴 베르그송 사상서 | 김하은 | 2019.02.11 | 9 |
3 | 인터넷매체 | [문화 다 2019.1.10] 『자본』을 정치적으로 읽기 / 손보미(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 김하은 | 2019.01.12 | 34 |
2 | 인터넷매체 | [대자보 2018.12.29] 신자유주의 시대 맑스의 '자본'은 유령인가? / 조현수 | 김하은 | 2019.01.08 | 44 |
1 | 인터넷매체 | [대자보 2018.3.14] 의식이 존재하는가? 합리론과 경험론의 간극 / 김영철(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 김하은 | 2018.03.27 | 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