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103 | 인터넷매체 |
[대자보 2013.3.11] 99프로 보편성, 문학의 불온함에 대하여 / 엄진희
|
김하은 | 2013.03.15 | 993 |
102 | 인터넷매체 |
[오마이뉴스 2013.3.3] 작은 실천과 실천이 이어져 새로운 사회가 열린다 / 김재형 시민기자(죽곡농민열린도서관 관장)
|
김하은 | 2013.03.05 | 1262 |
101 | 인터넷매체 |
[오마이뉴스] 자본주의 붕괴는 일상의 균열에서 온다 / 김철관 시민기자
|
김하은 | 2013.03.05 | 1133 |
100 | 인터넷매체 |
[프레시안 2013.3.1] 세상 바꿀 청춘에게 '구라' 치지 말자! / 조배준(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원)
|
김하은 | 2013.03.03 | 1259 |
99 | 인터넷매체 |
[참세상 2013.2.27] 시름과 염치의 사이에서 미래의 시를 상상하다 / 김새롬(이화문학회 회원)
|
김하은 | 2013.02.28 | 1081 |
98 | 인터넷매체 |
[프레시안 2013.2.22] 서울의 간호사와 도쿄의 소녀, 세상을 깨부순다! / 하승우(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운영위원)
|
김하은 | 2013.02.25 | 1454 |
97 | 인터넷매체 |
[프레시안 2013.2.22] 세상에서 가장 긴 이야기, "저기…" 마투라나·바렐라의 <앎의 나무> / 김광식(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수)
|
김하은 | 2013.02.25 | 1387 |
96 | 인터넷매체 |
[사이언스온 2013.1.29] 과학기술과 민주주의의 공존을 위한 레시피 / 강윤재
|
김하은 | 2013.02.19 | 970 |
95 | 인터넷매체 |
[참세상 2013.2.18] 위기와 멘붕 시대를 넘어서는 대안 화두, 균열 / 양찬영
|
김하은 | 2013.02.18 | 1116 |
94 | 인터넷매체 |
[대자보 2013.2.15] 자본주의라는 무너지기 쉬운 절대성에 균열내자 / 엄진희
|
김하은 | 2013.02.18 | 985 |
93 | 인터넷매체 |
[미디어스 2013.2.16] 균열혁명의 멜로디 '크랙 캐피털리즘', 반딧불의 춤에 대하여 / 박동수(출판편집자)
|
김하은 | 2013.02.18 | 1140 |
92 | 인터넷매체 |
[참세상 2013.2.5] 생명의 그물을 삶으로 길어 올린 서정 / 오철수(문학평론가)
|
김하은 | 2013.02.14 | 1123 |
91 | 인터넷매체 |
[프레시안 2013.1.11] 우리, 더 잘 망하게 해주세요! / 김신식 애서가
|
김하은 | 2013.01.15 | 1599 |
90 | 인터넷매체 |
[문화 다 2012.12.31] <한국문학 읽기> 정념의 역사적 정치적 분석과 ‘정동-코뮨’의 구축 / 이성혁
|
김하은 | 2013.01.08 | 1427 |
89 | 인터넷매체 |
[참세상 2013.1.7] 신체의 ‘공통체’와 에너지 플로우 / 이성혁(문학평론가)
|
김하은 | 2013.01.08 | 1537 |
88 | 인터넷매체 |
[대자보 2013.1.3] 붕괴의 가속화, 감수성만큼 느린 봉기, 새로운 희망 / 한태준 서평자
|
김하은 | 2013.01.04 | 1367 |
87 | 인터넷매체 |
[참세상 2012.12.27] 전지구적 금융자본주의에 대한 시(詩)적 저항연습 / 용정훈(인문학 독자)
|
김하은 | 2012.12.28 | 1345 |
86 | 인터넷매체 |
[미디어스 2012.12.26] 금융독재, 삶의 수식화에 맞선 사회적 연대를 재구축하는 무기로서의 시 / 권범철(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 연구원)
|
김하은 | 2012.12.27 | 1418 |
85 | 인터넷매체 |
[프레시안 2012.12.14] 세상을 망치는 전문가! '우리'가 바로잡자! / 이영희 교수
|
김하은 | 2012.12.17 | 1586 |
84 | 인터넷매체 |
[대자보 2012.12.5] 과학과 시민들의 삶, 그리고 민주주의의 관계 / 김영철(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
김하은 | 2012.12.06 | 1335 |
▷ Tel 02) 325 - 1485 | Fax 02) 325 - 1407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8길 9-13 [서교동 464-56] (우편번호:04030) | galmuri94@gmail.com | @daziwonM
▷ Galmuri Publishing Co.
9-13, Donggyo-ro 18-gil, Mapo-gu, Seoul, South Korea (04030)
▷ 계좌번호: 국민은행 762302-04-029172 [조정환(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