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보, 2017.05.18] 신학 아닌 것들의 신학, 그 제3자가 누구일까? / 이정섭(수의사)
[대자보, 2017.03.14] 도시의 자본인가 자본의 도시인가 / 오정학(경기도시공사)
[대자보, 2017.03.14] 『기린은 왜 목이 길까?』는 성장소설일까? / 손보미 (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문화다 2017.2.24] 시간을 되찾아올 시간이 필요하다 / 주재형 (서울대학교 철학과)
[울산저널, 2017.03.15] <서평> 로지스틱스 / 문유심 (방송PD/ 푸드TV 방송팀장)
[대자보, 2017.01.31] 『잉여로서의 생명』을 읽고 / 이수영(미술작가)
[참세상, 2017.01.26.] 잉여의 뒷면에 놓인 무한 그리고 유한 / 양준용(서울대 보건학과)
[의사신문, 2017.01.23.] `잉여로서의 생명' 신자유주의와 생명공학의 관계·방향 분석 / 김기원 기자
[한겨레 사이언스온, 2017.01.09.] 신자유주의의 덫, 생명공학의 상업화 / 조아라 (KISTI 연구원)
[오마이뉴스 2016.12.13] 현장 목소리 담는 객토문학 "이럴때일수록 힘을 내자" / 윤성효 기자
[대자보 2016.11.22] 철도원 24년, 삐라만 만든 줄 알았는데 시인이었다 / 이한주(시인)
[문화다 2016.11.22] 몸으로 쓴 시 / 이인휘(소설가)
[문화다 2016.8.17] 브라이언 마수미, 『가상과 사건 Semblance and Event』 / 김민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대자보 2016.8.8] 정치-미학적, 윤리적 패러다임으로서 가상과 사건 / 박해민(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생)
[대자보 2016.7.13] 예술은 일상적 삶에 어떻게 관여할 수 있는가? / 박남희(연세철학연구소 전임연구원)
[대자보 2016.6.9] 부채 거부, 빚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라! / 권범철(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 연구원)
[희년함께 2016.6.9] 부채로 생존을 이어가는 사회 / 김덕영(희년함께 사무처장)
[레디앙 2016.6.11] 심각하게 부채 거부를 선동하다 / 김현우(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
[자율평론 48호] 너무나 물리적인, 너무나 상징적인 테러 : 『대테러전쟁 주식회사』 / 최혁규 (문화사회연구소)
[자율평론 48호] 『대테러전쟁 주식회사』, 돈으로 재앙을 일으킨 사람들에 대한 은유 / 박진우 (『9.11의 희생양』 옮긴이)